국제 일반명(INN) | 실마리정보 | PRAC 미팅 | 권고한 제품정보 업데이트 여부 |
Axicabtagene ciloleucel; |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PML) |
2023년 7월 3-6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Axicabtagene ciloleucel; |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PML) | 2023년 11월 27-30일 PRAC 미팅 회의록 |
Yes |
Axicabtagene ciloleucel; brexucabtagene autoleucel; ciltabtagene autoleucel; idecabtagene vicleucel; lisocabtagene maraleucel; tisagenlecleucel | 면역 매개 장염 (Immune-mediated enterocolitis) |
2025년 1월 13-16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Axicabtagene ciloleucel; idecabtagene vicleucel; lisocabtagene maraleucel; ciltabtagene autoleucel; tisagenlecleucel; brexucabtagene autoleucel |
T세포 기원 2차 악성종양 |
2024년 1월 8-11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Axicabtagene ciloleucel; idecabtagene vicleucel; lisocabtagene maraleucel; ciltabtagene autoleucel; tisagenlecleucel; brexucabtagene autoleucel |
T세포 기원 2차 악성종양 |
2024년 4월 8-11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Axicabtagene ciloleucel; idecabtagene vicleucel; lisocabtagene maraleucel; ciltabtagene autoleucel; tisagenlecleucel; brexucabtagene autoleucel |
T세포 기원 2차 악성종양 |
2024년 6월 10-13일 PRAC 미팅 회의록 |
Yes |
Ciltacabtagene autoleucel; idecabtagene vicleucel; tisagenlecleucel |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PML) | 2025년 2월 10-13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Lisocabtagene maraleucel | 진행성 다초점 백질뇌병증(PML) | 2024년 9월 2-5일 PRAC 미팅 회의록 |
No |
∙ Session 2. 첨단치료의약품 평가 (Evaluation of ATMPs) 2.3. 180일차 미해결 문제 목록(Day 180 list of outstanding issues) - Obecabtagene autoleucel: (180일차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7월 19일 질문목록을 채택함. - Autologous cartilage-derived articular chondrocytes, in-vitro expanded: (180일차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4월 19일 질문목록을 채택함. - Dorocubicel(Allogeneic umbilical cord-derived CD34- cells, non-expanded): (180일차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10월 11일 질문목록을 채택함. 2.5. 80일차 평가 보고서(Day 80 assessment reports) - Nadofaragene firadenovec: (80일차 평가 보고서)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 Autologous CD34+ haematopoietic stem cells transduced ex vivo with a lentiviral vector encoding human Wiskott-Aldrich syndrome protein: (80일차 평가 보고서)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2.11. TYPEⅡ 변경과 (EC) No 1234/2008에 따른 치료적 적응증의 변화(Type II variations and variations of therapeutic ind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Commission Regulation(EC) No 1234/2008) - Abecma(Idecabtagene vicleucel): (품질, 의견) 2025년 2월 21일 보충 정보 요청 안건을 채택함. - CARVYKTI(Ciltacabtagene autoleucel): (임상, 의견)* 2025년 2월 21일 보충 정보 요청 안건을 채택함. * SmPC의 4.8 및 5.1항을 업데이트하여 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s, ADRs) 목록을 갱신하고, study 68284528MMY3002(CARTITUDE-4)의 두 번째 중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정보를 업데이트함. 해당 연구는 BCMA를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인 ciltacabtagene autoleucel과 Pomalidomide, Bortezomib 및 Dexamethasone(PVd) 또는 Daratumumab, Pomalidomide 및 Dexamethasone(DPd)을 비교하는 재발성 및 레날리도마이드-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무작위 배정 연구임. 또한, 위해성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RMP) 버전 5.3이 제출되었으며, 품목허가권자(marketing authorisation holder, MAH)는 패키지 리플릿 내 국가별 담당자 목록을 업데이트함. - Kymriah(Tisagenlecleucel): (안전성, 의견)* 2025년 1월 24일 보충 정보 요청 안건을 채택함. * 기존 임상시험 데이터와 실제 사례를 보고한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주입 후 모니터링' 권장 사항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SmPC 섹션 4.2를 수정함. 이에 따라 패키지 리플릿도 업데이트되었으며, RMP 버전 8.0도 제출됨. 또한, MAH는 부속서 II에 포함된 의료 전문가(Healthcare Professional, HCP) 교육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규모 변경을 도입함. - Luxturna(Voretigene neparvovec): (품질, 의견) 관련 안건을 채택함. - Yescarta(Axicabtagene ciloleucel), Tecartus(Brexucabtagene autoleucel): (품질, 의견) 관련 안건을 채택함. - Ebvallo(Tabelecleucel): (품질) 관련 안건을 채택함. 2.13. 기타 시판 후 활동(Other Post-Authorisation Activities) - Casgevy(Exagamglogene autotemcel): (임상 & 약물감시, (PRAC-주도 절차))*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PRAC-주도 절차) * 초기 MAA부터, PASS no VX24-290-102에 대한 수정된 Protocol v. 2.0: CASGEVY®(Exagamglogene autotemcel)에 대한 추가 위해성 완화 조치(Additional Risk Minimization Measures)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의료전문가 설문조사(Healthcare Professional Survey) - Imlygic(Talimogene laherparepvec): (PASS 20130193 제6차 중간보고서, (PRAC-주도 절차))*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 임상 현장에서 Talimogene Laherparepvec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시판 후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 환자, 밀접 접촉자 및 의료 제공자에서의 헤르페스 질환 위험을 특성화하고 치료받은 환자의 장기적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연간 중간보고서는 PSUR 및 DSUR에 포함될 연간 중간보고서에 포함될 예정임. - Tecartus(Brexucabtagene autoleucel): • (MEA 002.5에 대한 응답, (PRAC-주도 절차))* * Study KTE-EU-472-6036를 위한 수정된 프로토콜 #5, 제목: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성인 환자 치료를 위한 TECARTUS 투여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장기적 비중재적 연구 • (ANX/0101/1 임상, 약물감시) 관련 안건을 채택함. ∙ Session 4. 첨단치료의약품 분류에 대한 과학적 권고사항(Scientific Recommendation on Classification of ATMPs) 4.1. 새로운 요청-CAT 코디네이터 임명(New requests – Appointment of CAT Coordinator): 아래의 제품에 대해 ATMP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요청이 접수됨에 따라, 각각의 제품에 대해 CAT 코디네이터를 지정하는 절차를 진행함. - Allogeneic T cells genetically modified ex vivo using CRISPR/Cas9 to express an anti-CD19 chimeric antigen receptor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derived photoreceptor precursor cells - Messenger mRNA encoding the human Dynein Axonemal Intermediate Chain 1 (DNAI1) protein - Messenger mRNA encoding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СR) protein - Allogeneic genetically modified T-cells expressing two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targeting the human CD19 and CD70 proteins 4.2. 30일차, ATMP 과학적 권고사항(Day 30 ATMP scientific recommendation): 아래의 제품에 대한 ATMP 분류 요청에 대해 절차 개시 이후, 30일 내에 EMA 코디네이터가 초안 권고안을 작성하여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CAT 위원들의 논의 진행함. - mRNA transfected macrophages cultured from autologous monocytes - Genetically modified porcine heart - Genetically modified Escherichia coli bacteria engineered to carry genes to metabolize tryptophan and genes to use an exogenously administered sugar source - mRNAs encoding modified C.acnes protein - Autologous tumour-derived dendritic cells - adeno-associated virus (AAV) serotype 1 (AAV1) vector containing the human granulin precursor (GRN) cDNA encoding progranulin (PGRN) |
∙ Section 3. 최초 신청 단계(Initial applications) 3.2. 최초 신청 단계; 미해결된 문제 목록(180일, 신속 심사 타임테이블 절차의 경우 120일)(Initial applications; List of outstanding issues (Day 180; Day 120 for procedures with accelerated assessment timetable)) - Obecabtagene autoleucel: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7월 19일 질문 목록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 Autologous cartilage-derived articular chondrocytes, in-vitro expanded: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4월 19일 질문 목록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 Dorocubicel(Allogeneic umbilical cord-derived CD34- cells, non-expanded):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10월 11일 질문 목록 관련 정보 안건을 채택함. ∙ Section 8. 제출 전 이슈(Pre-submission issues) 8.1. 제출 전 이슈(Pre-submission issue) - Onasemnogene abeparvovec: (신속 평가 요청에 대한 심사자의 권고안 및 간략한 내용 확인) 관련 안건을 채택함. |
* 본 문서는 CHMP 2025년 3월 회의 안건의 필수 구성 요소이며, 2025년 1월부터 EMA는 IRIS에서 처리되는 규제 절차가 포함된 CHMP 안건 부속 문서를 엑셀 형식으로 공개함. IRIS는 EMA와의 제품 관련 과학적·규제 절차를 관리하는 보안 온라인 플랫폼이며, 이번 변경은 시판 후 규제 절차의 IRIS 전환에 따른 조치로 EMA의 디지털화 정책의 일환으로 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도 기여될 예정임. - Ebvallo(Tabelecleucel) - Yescarta(Axicabtagene ciloleucel)/Tecartus(Brexucabtagene autoleucel) * 상업적으로 기밀 정보 포함하여 관련 상세 내용 없음 |
∙ 규정 준수 점검(Compliance check) - Beremagene geperpavecl: 수포성 표피박리증(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치료 관련 논의 안건을 채택함. ∙ 초기 소아 임상연구계획(Initial Paediatric Investigation Plan) - Autologous regulatory T lymphocytes CD3+ CD4+ CD25+ CD127- FoxP3+, ex-vivo expanded: 3단계 제1형 당뇨병(stage 3 diabetes mellitus type 1) 예방 관련 논의 안건을 채택함. - Adeno-associated virus serotype 9 expressing a transcription factor for the SCN1A gene: 드라베 증후군(Dravet syndrome) 치료 관련 논의 안건을 채택함. - Autologous CD34+ haematopoietic stem cells transduced ex vivo with a lentiviral vector encoding the codon-optimised version of PKLR gene: 피르빈산키나아제 결핍증(pyruvate kinase deficiency) 치료 관련 철회 안건을 채택함. ∙ 의약품-특이적 면제(Product Specific Waiver) - Zabilugene almadenorepvec: 췌장암(pancreatic cancer) 치료 관련 안건을 채택함. - Autologous T-cells transduced with a lentiviral vector expres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against BCMA and GPRC5D: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치료 관련 안건을 채택함. |
∙ Section 2. 희귀의약품 지정 신청(Applications for orphan medicinal product designation) 2.2. 토론/의견서 작성(For discussion / preparation for an opinion) - adeno-associated virus vector serotype 8 containing the human F9 gene: 위원회는 B형 혈우병(haemophilia B)이 희귀의약품 지정 기준을 충족함에 동의함. 또한 비임상 데이터(in vivo)를 바탕으로 해당 의약품을 통해 질환을 치료하려는 목적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해당 의약품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합의하에 채택됨. - single guide RNA containing a sequence complementary to human ALB locus gene, intron 1, target region, ziclumeran: 위원회는 B형 혈우병(haemophilia B)이 희귀의약품 지정 기준을 충족함에 동의함. 또한 비임상 데이터(in vivo)를 바탕으로 해당 의약품을 통해 질환을 치료하려는 목적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해당 의약품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합의하에 채택됨. ∙ Section 4. 최초 시판 허가 당시 희귀의약품에 대한 희귀의약품 지정 검토(Review of orphan designation for orphan medicinal products at time of initial marketing authorisation) 4.2 CHMP 의견 채택 전 희귀의약품 지정 제품에 대한 논의(Orphan designated products for discussion prior to adoption of CHMP opinion) - Vyjuvek(beremagene geperpavec): Vyjuvek(beremagene geperpavec, EU/3/18/2012)을 EU 희귀의약품 목록에서 삭제하지 않도록 권고하는 의견이 합의하에 채택되었으며, 희귀의약품 유지 평가 보고서가 EMA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될 예정임. [추후 회의 기록: COMP는 2월 회의 이후 서면 절차를 통해 해당 의견을 채택함.] |
성분명 | Adeno-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8 containing the human glucose-6-phosphatase gene |
제품명 | DTX401 |
치료분야 | 선천성, 가족성 및 유전 질환 |
채택번호 | P/0044/2024 |
PIP 번호 | EMEA-002734-PIP01-19-M01 |
약물형태 | 주입용 용액 농축액 및 희석액(Concentrate and diluent for solution for infusion) |
적응증 | la형 당원축적병(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의 치료 |
개발사 | Ultragenyx Germany GmbH |
업데이트 사항 (’25.3.25.) |
P/0044/2024: 소아 임상시험 계획 수정 동의에 대한 EMA 결정(2024.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