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ction 3. 최초 신청 단계(Initial applications) 3.2. 최초 신청 단계; 미해결된 문제 목록(180일, 신속 심사 타임테이블 절차의 경우 120일)(Initial applications; List of outstanding issues (Day 180; Day 120 for procedures with accelerated assessment timetable)) - Beremagene geperpavec: (미해결 문제 목록) 2024년 3월 15일 채택된 질문 목록 채택, CHMP는 CAT에서의 논의 사항에 대해 전달 받으며, 해당 신청의 진행 상황과 남아 있는 미해결 사항에 대해 다시 한 번 강조함. 위원회는 CAT에서 채택된 특정 일정에 따라 미해결 문제 목록을 채택함. 3.3. 최초 신청 단계; 질의 목록(120일, 신속 심사 타임테이블 절차의 경우 90일)(Initial applications; List of questions (Day 120; Day 90 for procedures with accelerated assessment timetable)) - Delandistrogene moxeparvovec: (질문 목록) CHMP는 CAT에서 진행된 논의에 대해 전달받았으며, 위원회는 신청서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논의함. 위원회는 CHMP 권고사항과 과학적 논의, CAT에서 채택한 질문 목록을 승인함. - Dorocubicel(Allogeneic umbilical cord-derived CD34- cells, non-expanded): (질문 목록) CHMP는 CAT에서 진행된 논의에 대해 전달받았으며, 위원회는 신청서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논의함. 위원회는 CHMP 권고사항과 과학적 논의, CAT에서 채택한 질문 목록을 승인함. 3.4. 유럽 통합 절차를 위한 진행 중인 초기 신청서 업데이트(Update on on-going initial applications for Centralised procedure) - Autologous cartilage-derived articular chondrocytes, in-vitro expanded: (2024년 9월 27일 신청자가 2024년 4월 채택된 질문 목록에 응답하기 위해 clock stop*을 연장 요청하는 신청인의 서한, CAT는 2024년 4월 채택된 질문 목록에 응답하기 위해 신청인의 clock stop 연장 요청에 동의함.) 2024년 4월 19일 채택된 질문 목록 관련 정보를 논의함. CHMP는 CAT가 채택한 일정표를 확인하고, 2024년 4월에 채택된 질문 목록에 응답하기 위해 신청자의 Clock stop 연장 요청을 승인함. * Clock stop: 의약품 평가가 중단되는 기간 |
∙ Section 5. TYPEⅡ 변화 - 위원회 규칙 부속서Ⅰ에 따른 치료적 적응증의 변화(Type II variation – variation of therapeutic ind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nex I of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234/2008) 5.1. TYPEⅡ 변화 - 위원회 규칙 부속서Ⅰ에 따른 치료적 적응증의 변화; 의견 또는 부가 정보 요청(Opinions or Requests for supplementary information) (Type II variations - variation of therapeutic ind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Commission Regulation (EC) No 1234/2008; Opinions or Requests for supplementary information) - Breyanzi(Lisocabtagene maraleuce): (신청서)* CHMP는 CAT에서의 논의 내용을 전달 받았으며, 위원회는 본 신청서에서 확인된 추가 1년 판매 보호 사안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함. 또한, 위원회는 CAT에서 채택한 특정 일정에 따른 보충 정보 요청을 승인함. * ① C.I.6 (Type II): 핵심 임상시험인 JCAR017-FOL-001(FOL-001, TRANSCEND-FL)의 최종 결과를 기반으로 Breyanzi의 적응증을 3차 치료 이상의 소포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성인 환자의 치료를 포함하여 확장함. 해당 연구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FL 또는 변연부 림프종(marginal zone lymphoma, MZ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JCAR017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임상 2상, 오픈 라벨, 단일군, 다중 코호트, 다기관)임. 이에 따라 제품특성요약서(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section 4.1, 4.4, 4.8, 5.1 및 5.2 및 패키지 리플릿이 업데이트되었으며, 위해성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 RMP) 버전 5.0이 제출됨. 또한, 품목허가권자(marketing authorisation holder, MAH)는 판매 보호 기간을 1년 연장 요청함. ② 품질 변경 및 새로운 적응증에 대한 1년간의 판매 보호 요청(규정(EC)) 제14조 제11항 726/2004) ∙ Section 9. 시판 허가 후 쟁점(Post-authorisation issues) - Alofisel(Darvadstrocel): (절차 업데이트)* 2024년 7월 19일 채택된 보충 정보 요청 채택과 CHMP는 절차에 대한 업데이트를 확인함. * 4건의 Type II 변화 신청서 ① C.I.4(1건)-2개의 임상 3상 연구(ADMIRECD&ADAME-CD II)의 취합된 안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성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부속서 II에 의무사항으로 명시된 연구 ADAME-CD II의 최종 결과를 기반으로 효능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SmPC section 4.8, 5.1 업데이트 및 부속서 II도 갱신함. ADAME-CD II(Cx601-0303)는 크론병 환자의 복합 항문주위 누공 치료를 위한 성인 동종 확장 지방 유래 줄기세포인 Cx601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3상 연구로, 무작위 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연구임. 또한 MAH는 SmPC section 4.2 및 패키지 리플릿을 포함하여 제품 정보에 편집 변경사항을 소개할 기회를 가짐. ② C.I.13(3건)-새로운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Alofisel의 유익성-위해성 평가를 뒷받침하기 위한 연구 Darvadstrocel-3003 및 Alofisel-5003(INSPIRE)의 중간 결과 및 연구 Darvadstrocel-3002의 최종 결과를 제출함. 또한 RMP 버전 8.0도 제출함. |
・제품명: Alofisel ・성분명: Darvadstrocel ・조치 사항: 시장에서 의약품 철수 ・품목허가보유자: Takeda Pharma A/S ・시판 허가 절차: 중앙 허가 제품(Centrally Authorised Product) ・의사 결정 기관: 유럽 집행위원회 (European Commission) ・조치 사유: 위해성-유익성 균형이 불충분함 (2001/83/EC 지침의 116조 및 117조 적용) ・조치 결정일: 2024년 12월 13일 ・조치 유효 기간: 해당 없음 (n/a) ・해당 회원국: EU |
∙ Section 5. 위해성관리계획(Risk management plans (RMPs)) 5.1. 시판 전 단계의 의약품(Medicines in the pre-authorisation phase) - Autologous cartilage-derived articular chondrocytes, in-vitro expanded: PRAC RMP AR, PRAC RMP 평가 개요 및 CAT, CHMP에 대한 조언 안건을 채택함. - Dorocubicel(allogeneic umbilical cord-derived CD34- cells, non-expanded): PRAC RMP AR, PRAC RMP 평가 개요 및 CAT, CHMP에 대한 조언 안건을 채택함. - Obecabtagene autoleucel: PRAC RMP AR, PRAC RMP 평가 개요 및 CAT, CHMP에 대한 조언 안건을 채택함. 5.3. 시판 후 단계의 의약품 – CHMP 주도 절차(Medicines in the post-authorisation phase – CHMP-led procedures)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SmPC의 4.8 및 5.1항을 업데이트하여 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s, ADRs) 목록을 갱신하고, study 68284528MMY3002(CARTITUDE-4)*의 두 번째 중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 정보를 업데이트, RMP 버전 5.3이 제출되었으며, MAH는 패키지 리플릿 내 국가별 담당자 목록을 업데이트함.) PRAC RMP AR, PRAC RMP 평가 개요 및 CAT, CHMP 조언 안건을 채택함. * 해당 연구는 BCMA를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인 ciltacabtagene autoleucel과 Pomalidomide, Bortezomib 및 Dexamethasone(PVd) 또는 Daratumumab, Pomalidomide 및 Dexamethasone(DPd)을 비교하는 재발성 및 레날리도마이드-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무작위 배정 연구 - Tisagenlecleucel(KYMRIAH): (기존 임상시험 데이터와 실제 사례를 보고한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주입 후 모니터링' 권장 사항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SmPC 섹션 4.2를 수정함. 이에 따라 패키지 리플릿도 업데이트되었으며, RMP 버전 8.0도 제출됨. 또한, MAH는 부속서 II에 포함된 의료 전문가(Healthcare Professional, HCP) 교육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규모 변경을 도입함.) PRAC RMP AR, PRAC RMP 평가 개요 및 CAT, CHMP 조언 안건을 채택함. ∙ Section 6. 정기적인 최신 안전성정보 보고서 (Periodic safety update reports (PSURs)) 6.1. PSUR 단일 평가 절차 (PSUR single assessment (PSUSA) procedures including centrally authorised products (CAPs) only)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PSUSA 절차 평가) CAT, CHMP 권고사항 안건을 채택함. - Lisocabtagene maraleucel(BREYANZI): (PSUSA 절차 평가) CAT, CHMP 권고사항 안건을 채택함. - Tisagenlecleucel(KYMRIAH): (PSUSA 절차 평가) CAT, CHMP 권고사항 안건을 채택함. - Valoctocogene roxaparvovec(ROCTAVIAN): (PSUSA 절차 평가) CAT, CHMP 권고사항 안건을 채택함. ∙ Section 7. 시판 후 안전성 연구 (Post-authorisation safety studies (PASS)) 7.2. 시판 허가에 부과되지 않은 PASS 프로토콜(Protocols of PASS non-imposed in the marketing authorisation(s)) - Brexucabtagene autoleucel(TECARTUS): (MEA 002.5에 대한 응답: Study KTE-EU-472-6036를 위한 수정된 프로토콜 #5)* CAT 및 CHMP에 대한 조언 안건을 채택함. * 재발성 또는 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성인 환자 치료를 위한 TECARTUS 투여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장기적 비중재적 연구 - Exagamglogene autotemcel(CASGEVY): (초기 MAA부터, PASS no VX24-290-102에 대한 수정된 Protocol v. 2.0: CASGEVY(Exagamglogene autotemcel)에 대한 추가 위해성 완화 조치(Additional Risk Minimization Measures)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의료전문가 설문조사(Healthcare Professional Survey))CAT 및 CHMP에 대한 조언 채택 안건을 채택함. 7.5. 개정된 변동 규정 시행 전에 제출된 부과 및 미부과 PASS의 중간 결과(Interim results of imposed and non-imposed PASS submitted before the entry into force of the revised variation regulation) - Talimogene laherparepvec(IMLYGIC): (PASS 20130193 제6차 중간보고서*, PSUR 및 DSUR에 포함될 연간 중간보고서) CAT 및 CHMP에 대한 조언 안건을 채택함. * 임상 현장에서 Talimogene Laherparepvec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시판 후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 환자, 밀접 접촉자 및 의료 제공자에서의 헤르페스 질환 위험을 특성화하고 치료받은 환자의 장기적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
제품명 | 적응증 | PRIME 지정 일자 |
Tasadenoturev | 재발성 교모세포종(recurrent glioblastoma)의 유전자치료제 | ’16.7.21 |
NY-ESO-1c259T | 전이성 활막육종(Metastatic synovial sarcoma)의 유전자치료제 | ’16.7.21. |
AAV2/8-hCARp.hCNGB3 | CNGB3 유전자 결함과 관련된 색맹의 유전자치료제 | ’18.2.22. |
AT132 | X-연관 근세관성 근육병증(X-linked myotubular myopathy)의 유전자치료제 | ’18.5.31. |
OTL-300 | 수혈 의존성 β-지중해빈혈(transfusion-dependent β-thalassemia)의 유전자치료제 | ’18.9.20. |
CT053 | 재발성·불응성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의 CAR-T 세포치료제 | ’19.9.19. |
MB-CART2019.1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의 CAR-T 세포치료제 | ’19.10.17. |
Rebisufligene etisparvovec | 3A형 점액다당질증(mucopolysaccharidosis Type IIIA)의 유전자치료제 | ’19.12.12. |
ALVR-105 |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5가지 바이러스 감염의 T세포치료제 | ’20.1.30. |
Adenovirus 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5 containing the human RPGR gene | X-연관 색소망막염(X-linked retinitis pigmentosa, XLRP)의 유전자치료제 | ’20.2.27 |
ADP-A2M4 | 전이성 활막육종의 TCR-T 세포치료제 | ’20.7.23. |
OTL-203 | 1형 점액다당질증(mucopolysaccharidosis type I)의 유전자치료제 | ’20.9.17. |
CD30.CAR-T | 호지킨림프종(hodgkin lymphoma)의 CAR-T 세포치료제 | ’20.9.17. |
RP-L201 | 백혈구 부착 결핍증-I(leukocyte adhesion deficiency-I, LAD-I)의 유전자치료제 | ’21.3.25 |
MB-107 | X-연관 중증복합면역결핍병(X-linke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의 유전자치료제 | ’21.7.22. |
CT041 | 진행성 위암(advanced gastric cancer)의 CAR-T 세포치료제 | ’21.11.11. |
ARI-0001 | 재발성·불응성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B 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의 CAR-T 세포치료제 | ’21.12.16. |
BNT211 | 고환생식세포종양(testicular germ cell tumor)의 CAR-T 세포치료제 | ’22.6.23. |
ADVM-022 |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의 유전자치료제 | ’22.6.23. |
DTX401 | la형 당원축적병(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Ia)의 유전자치료제 | ’22.9.15. |
FBX-101 | 크라베병(krabbe disease)의 유전자치료제 | ’22.12.15. |
GNT0003 | 크리글러-나자르증후군(Crigler-Najjar syndrome)의 유전자치료제 | ’23.1.26. |
VX-880 | 저혈당 무감지증(impaired hypoglycemic awareness)과 중증 저혈당(severe hypoglycemia)을 동반하는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의 세포치료제 | ’23.3.30. |
mRNA-4157, V940 | 흑색종(melanoma) 치료제 | ’23.3.30. |
AGTC-501 (laruparetigene zovaparvovec) |
X-연관 색소망막염(XLRP) 유전자치료제 | ’23.4.26. |
RP-A501 | 피르빈산키나아제 결핍증(pyruvate kinase deficiency, PKD) 치료제 | ’23.5.25. |
RP-L301 | 피르빈산키나아제 결핍증(PKD)의 유전자치료제 | ’23.7.20. |
4D-150 |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의 유전자치료제 | ’23.10.12. |
Messenger RNA encoding Cas9, Single guide RNA targeting the human KLKB1 gene |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치료제 | ’23.10.12. |
RGX-121 | 백혈구 부착 결핍증-I(LAD-I) 치료제 | ’23.12.14. |
Isaralgagene civaparvovec | 파브리병(fabry disease) 유전자치료제 | ’24.1.25. |
AUP1602-C | 당뇨병성 족부 궤양(non-healing diabetic foot ulcer) 치료제 | ’24.2.22. |
Esepapogene zalarnarepvec | 재발성 또는 전이성 인간유두종바이러스 16 양성, PD-L1 CPS ≥ 20, 구강인두 편평세포암종 | ’24.3.21. |
FLT201 | 고쉐병 치료제 | ’24.4.25. |
WU-CART-007 | 재발성/불응성 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T-ALL) 및 T세포 림프구성 림프종(T-cell lymphoblastic lymphoma, T-LBL) 치료제 | ’24.4.25. |
GD2-CART01 | 고위험 재발성·불응성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치료제 | ’24.7.25. |
Autologous CD34+ cells transduced with a lentiviral vector containing the human RAG1 gene | RAG1 결핍 중증 복합 면역 결핍(RAG1 deficient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SCID)) 치료제 | ’25.1.30. |
NGN-401 | 레트증후군(Rett syndrome) 치료제 | ’25.2.27. |
∙ 초기 소아 임상연구계획(Initial Paediatric Investigation Plan) - Adeno-associated virus serotype 5 containing the human NR2E3 gene: 색소망막염(retinitis pigmentosa) 치료 관련 논의함. - Allogeneic peripheral blood-derived T-cells, fratricide-resistant, transduced with an lentivirus vector expres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against CD7: 전구 T-림프모구 림프종/백혈병(precursor T-lymphoblastic lymphoma/leukaemia) 치료 관련 논의함. - Adeno-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S3 containing codon-optimised expression cassette encoding human beta-glucocerebrosidase variant: 고쉐병(Gaucher disease) 치료 관련 논의함. - Adeno-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1 containing the 3' portion of human OTOF gene, Adeno-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1 containing the 5' portion of human OTOF gene: 선천성 난청(Congenital deafness) 치료 관련 변경 요청(request for modification, RfM) 논의함. - Adeno-associated viral vector serotype 9 containing the human MECP2 gene: 레트증후군(Rett syndrome) 치료 관련 재 논의함. ∙ 소아 임상연구계획 변경(Modification of Paediatric Investigation Plan) - Allogeneic bone marrow-derived pooled mesenchymal stromal cells ex-vivo expanded: 급성 이식편대숙주병(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치료 관련 논의함. - Delandistrogene moxeparvovec: 뒤쉔근디스트로피(Duchenne muscular dystrophy) 치료 관련 의견을 논의함. ∙ 의약품-특이적 면제(Product Specific Waiver) - Surabgene lomparvovec: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치료 관련 의견을 논의함. |
∙ Section 4. 실마리정보 평가 및 우선순위(Signals assessment and prioritisation) 4.1. EU의 자발적 보고 시스템 및/또는 기타 출처에서 탐지된 새로운 실마리정보(New signals detected from EU spontaneous reporting systems and/or other sources)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면역 매개 장염(immune-mediated enterocolitis)의 실마리 정보) PRAC은 약물감시시스템(EudraVigilance) 사례 보고서에서 얻은 증거를 고려해 면역 매개 장염의 실마리정보에 대한 추가 평가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고 신호의 범위를 CAR T 세포 제품군으로 확대함. • 권고사항 요약 ① Abecma(idecabtagene vicleucel), Breyanzi(lisocabtagene maraleucel), Carvykti(ciltacabtagene autoleucel), Kymriah(tisagenlecleucel), Tecartus(brexucabtagene autoleucel), Yescarta(axicabtagene ciloleucel)의 MAH들은 60일 이내에 면역 매개성 장염/면역 효능 세포 연관 장염(immune-mediated enterocolitis/immune effector cell-associated enteritis) 실마리정보에 대한 누적 검토 자료를 EMA에 제출해야 함. 이 검토에는 MedDRA 상위 용어(HLT) 대장염(감염성 제외) 및 HLT 위장관 염증 질환 NEC에서 선택된 대표 용어(PT) (자가면역 장병증, 음와염(cryptitis), cuffitis, 십이지장염, 장염, 장결장염, 위장관 염증, 면역 매개 위장관 질환)의 사례 분석, 발표된 문헌 검토, 자발적 보고 및 연구에서 보고된 데이터가 포함되어야 함. 또한 MAH는 필요에 따라 제품 정보 및/또는 RMP(예: 교육 자료)를 수정할 필요성과 제안된 의료전문가와의 직접적인 의사소통(direct healthcare professional communication)의 필요성을 논의해야함. ② 리뷰 평가를 위해 90일 일정표가 권장되었으며, 추가적인 PRAC 권고사항으로 이어짐. ∙ Section 6. 정기적인 최신 안전성정보 보고서(Periodic safety update reports (PSURs)) 6.1. PSUR 단일 평가 절차 (PSUR single assessment (PSUSA) procedures including centrally authorised products (CAPs) only) - Onasemnogene abeparvovec(ZOLGENSMA): (PSUSA 절차 평가) 다음 PSUR은 지침 2001/83/EC 제107c(7)조에 따라 유럽연합 기준일(European Union reference dates, EURD) 목록에 명시된 요구사항을 준수하여 제출해야 함. • 권고사항 요약 및 결론 ①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 검토 결과, 승인된 적응증에서 Zolgensma (onasemnogene abeparvovec)의 유익성-위해성 균형은 변경되지 않았음. ② Zolgensma 투여 후 Troponin-I 수치의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음을 반영하도록 제품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함. 또한, 제품 정보에 아나필락시스(anaphylactic) 반응을 포함한 주입 관련 반응을 경고 사항으로 추가하고, 각각 ‘빈번하지 않은(uncommon)’ 및 ‘희귀한(rare)’의 빈도로 이상 반응에 추가해야 하며, 현재의 허가 조건을 변경해야 함. ③ 다음 PSUR에서 MAH는 척수 확장성(spinal cord expansivities) 및 혈구 탐식성 림프조직구증/대식세포 활성화 증후군(ha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macrophage activation syndrome) 사례를 계속 모니터링해야 하며, 감각 이상 반응이 나타난 환자 사례(특히 척수강내(intrathecal) 투여 환자 포함)를 보고해야 함. ∙ Section 15. 부속서 - 위해성관리계획(Annex I – Risk management plans (RMPs)) 15.2. 시판 후 단계의 의약품 – PRAC 주도 절차(Medicines in the post-authorisation phase – PRAC-led procedures) - Autologous CD34+ enriched cell fraction that contains CD34+ cells transduced with retroviral vector that encodes for the human ADA cDNA sequence(STRIMVELIS): (STRIM-005 및 STRIM-003 연구 프로토콜 수정안과 두 연구의 완료 일정에 대한 수정을 제안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RMP 버전 7.0 제출 및 이에 따른 부속서 II가 업데이트 됨.) - Brexucabtagene autoleucel(TECARTUS), Axicabtagene ciloleucel(YESCARTA): (T세포 기원 2차 악성 종양 실마리정보에 대한 PRAC의 권고(EPITT no: 20040)에 따라 TECARTUS의 RMP 버전 4.3과 YESCARTA의 버전 11.1을 업데이트하여 제출 및 T세포 기원의 2차 악성 종양 샘플링 및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위한 PASS 프로토콜 제출)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새로운 중대한 확인된 위험인 'T세포 기원의 2차 악성종양'을 추가하고, 기존의 중대한 잠재적 위험인 '2차 원발성 악성종양(Second primary malignancies)'을 'T세포 기원의 2차 악성 종양을 제외한 2차 원발성 악성종양'으로 변경하며, T세포 기원의 2차 악성종양에 대한 추가 약물감시 활동을 포함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RMP 버전 5.2를 제출(EPITT no: 20040)) 15.3. 시판 후 단계의 의약품 – CHMP 주도 절차(Medicines in the post-authorisation phase – CHMP-led procedures) - Lisocabtagene maraleucel(BREYANZI): (신청서)* * ① C.I.6(Type II): 핵심 임상시험인 JCAR017-FOL-001(FOL-001, TRANSCEND-FL)의 최종 결과를 기반으로 Breyanzi의 적응증을 3차 치료 이상의 소포림프종(FL) 성인 환자의 치료를 포함하여 확장함. 해당 연구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FL 또는 변연부 림프종(MZ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JCAR017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임상 2상, 오픈 라벨, 단일군, 다중 코호트, 다기관)임. 이에 따라 SmPC section 4.1, 4.4, 4.8, 5.1 및 5.2 및 패키지 리플릿이 업데이트되었으며, RMP 버전 5.0이 제출됨. 또한, MAH는 판매 보호 기간을 1년 연장 요청함. ② B.II.d.1.e (Type II) ③ B.II.d.1.a (Type IB) ④ B.II.d.1.a (Type IB) - Tisagenlecleucel(KYMRIAH): (기존 임상시험 데이터와 실제 사례를 보고한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주입 후 모니터링' 권장 사항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SmPC 섹션 4.2를 수정함. 이에 따라 패키지 리플릿도 업데이트되었으며, RMP 버전 8.0도 제출됨. 또한, MAH는 부속서 II에 포함된 의료 전문가(Healthcare Professional, HCP) 교육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규모 변경을 도입함.) ∙ Section 16. 부속서 I - 정기적인 최신 안전성정보 보고서 (Annex I - Periodic safety update reports (PSURs)) 16.1. PSUR 단일 평가 절차 (PSUR single assessment (PSUSA) procedures including centrally authorised products (CAPs) only) - Eladocagene exuparvovec(UPSTAZA): (PSUSA 절차 평가) - Etranacogene dezaparvovec(HEMGENIX): (PSUSA 절차 평가) ∙ Section 17. 부속서 I - 시판 후 안전성 연구 (Annex I – Post-authorisation safety studies (PASS)) 17.1 시판 허가에 부과된 PASS 프로토콜(Protocols of PASS imposed in the marketing authorisation(s)) - Axicabtagene ciloleucel(YESCARTA): (재발성 또는 불응성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및 원발성 종격동 B세포 림프종(primary mediastinal B-cell lymphoma, PMBCL) 치료를 위해 Yescarta를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비중재적 연구의 프로토콜에 대한 대폭적 수정)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PASS Study 68284528MMY4004 프로토콜 제출에 대한 대폭적인 수정)* * Ciltacabtagene Autoleucel로 치료한 다발골수종 환자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판 후 관찰 안전성 연구 17.2. 시판 허가에 부과되지 않은 PASS 프로토콜(Protocols of PASS non-imposed in the marketing authorisation(s)) - Ciltacabtagene autoleucel(CARVYKTI): (프로토콜 수정 / PASS 연구 PCSONCA0014 (v. 1) 허가 후 안전성 연구 설문조사: Ciltacabtagene Autoleucel 의료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및 제품 취급 교육의 효과 평가) |
제품명 | Holoclar |
적응증 | 눈 화상으로 인한 각막 손상 및 관련된 각막(윤부) 줄기세포 결핍(Corneal lesions, with associated corneal (limbal) stem cell deficiency, due to ocular burns) |
EU 지정 번호 | EU/3/08/579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08.11.7. |
희귀 의약품 지정 상태 | 만료됨 |
제조사 | Holostem Terapie Avanzate S.r.l. |
업데이트 일자 | 2025.3.7. |
성분명 | 인간 PKP2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 혈청형 rh.10 |
적응증 | PKP2 유전자의 병원성 돌연변이로 인한 부정맥유발성 심근병증(arrhythmogenic cardiomyopathy caused by pathogenic mutations in the PKP2 gene) |
EU 지정 번호 | EU/3/25/3033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25.2.26. |
제조사 | Scendea (NL) B.V. |
업데이트 일자 | 2025.3.11. |
성분명 | 인간 PAH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 벡터 혈청형 SNY001 |
적응증 | 고페닐알라닌혈증(hyperphenylalaninaemia) |
EU 지정 번호 | EU/3/25/3026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25.2.26. |
제조사 | Sanofi B.V. |
업데이트 일자 | 2025.3.11. |
제품명 | 인간 ADA2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로 체외에서(ex vivo) 형질도입된 조혈모세포 및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자가 CD34+ 세포가 풍부한 개체군 |
적응증 |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 결핍증(adenosine deaminase 2 deficiency, DADA2) |
EU 지정 번호 | EU/3/25/3034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25.2.27. |
제조사 | ESPL Regulatory Consulting Limited |
업데이트 일자 | 2025.3.11. |
제품명 | 인간 SGCG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 sector 혈청형 rh74 |
적응증 | 지대 근디스트로피(limb-girdle muscular dystrophy) 치료 |
EU 지정 번호 | EU/3/25/3031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25.2.27. |
제조사 | Sarepta Therapeutics Ireland Limited |
업데이트 일자 | 2025.3.11. |
제품명 | CD19를 표적으로 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포함하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로 형질도입된 자가 T 세포 |
적응증 |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치료 |
EU 지정 번호 | EU/3/24/3011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25.2.20. |
제조사 | Yes Pharmaceutical Development Services GmbH |
업데이트 일자 | 2025.3.12. |
제품명 | 인간 콜레스테롤 24-hydroxylase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부속바이러스 벡터 혈청형 rh10 |
적응증 |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치료 |
EU 지정 번호 | EU/3/19/2149 |
희귀의약품 지정일 | 2019.4.1. |
제조사 | AskBio France |
업데이트 일자 | 2025.3.12. |
업데이트 내역 | 희귀의약품 지정 철회 |